홈 교회 소개
    교회 생활 안내

    담임목사소개01.png



    학력
    담임목사소개03.png 총신대학교 졸업
    담임목사소개03.png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졸업
    담임목사소개03.png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졸업
    담임목사소개03.png 총신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담임목사소개03.png 미국 Cohen University & Theological Seminary 목회학박사 졸업


    사역
    담임목사소개03.png 경향교회 교육전도사
    담임목사소개03.png 성남 한남교회 강도사 및 부목사
    담임목사소개03.png 의정부제일교회 부목사
    담임목사소개03.png 미국 캔자스 맨하탄 한인교회 부목사 (Korean Church of Manhattan in Kansas)
    담임목사소개03.png 미국 플로리다 사라소타 한인장로 교회 담임목사 역임
       (Sarasota Korean Presbyterian Church Senior Pastor)
    담임목사소개03.png 안산 반월교회 담임목사 역임
    담임목사소개03.png 현 안산비전교회 담임목사 
    1. 학습
    담임목사소개03.png 자격
    - 교회에 출석한지 6개월 이상이 되고 예수를 믿는 만14세 이상인 분
    담임목사소개03.png 절차
    - 주보 교회 소식(광고)을 통해 학습 문답 교육을 신청합니다.
    - 소정의 교육을 마치고 정해진 문답시간에 참석하여 문답을 한 뒤 주일 예배 시
    서약을 하고 학습을 받고 공포함을 받아야 합니다. 
    2. 세례(입교)
    담임목사소개03.png 자격
    – 학습을 받은 뒤 6개월 이상 교회에
    잘 출석하고 예수 그리스도를
    자신의 구주로 믿는 자입니다. 
    – 입교문답의 자격은 유아세례를 받은 자로 만14세 이상이 되어 스스로 
    신앙을 고백하는 자입니다.
    담임목사소개03.png 절차
    – 주보 교회 소식(광고)을 통해 세례, 입교 문답 교육을 신청합니다. 
    – 소정의 교육을 마치고 정해진 문답시간에 참석하여 문답을 한 뒤 주일 예배 시 서약을 하고 세례를 받고 공포함을 받아야 합니다. 
       단 입교자는 유아 때 세례를 받았으므로 서약 후 공포함으로 입교인이 됩니다.
    3. 유아세례, 어린이 세례
    담임목사소개03.png 자격
    – 유아 세례는 부모 중 한쪽이라도 세례를 받은 자의 자녀로서 만6세 이하인 유아.
    – 어린이 세례는 부모 중 한쪽이라도 세례를 받은 자의 자녀로서 만7세에서 만13세까지의 어린이
     
    4. 돌예배
    담임목사소개03.png 신청
    – 돌예배를 드리기 원할 경우 교역자에게 일시와 장소를 의논합니다.
    담임목사소개03.png 준비
    – 예배 인도는 담임목사께서 합니다.
       혹 예배 순서지가 필요하시면 유아의 사진과 부모님의 인사말을 사전에 주시면 교회에서 순서지를 준비합니다.
    담임목사소개03.png 예배시간
    – 돌예배 시 예배시간을 엄수하여야 하며 예배에 집중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해야 합니다. 
    5. 결혼예배

    담임목사소개03.png 절차- 결혼일자가 정해지면 교역자에게 알려야 합니다. 
    - 담임목사의 주례가 결정되면 담임목사와 가정과 결혼 세미나를 약3-4회 실시합니다. 
    - 주보 교회소식 란에 광고를 원하시면 청첩장 2부를 교역자에게 미리 주셔야 합니다. 
    - 주보 교회소식 란에 광고는 2회(결혼 2주전부터) 나가게 됩니다. 
    - 결혼 예배 순서는 가정과 결혼 세미나가 끝나는 마지막 날에 정하고
       기도와 특송 및 특별 순서도 이 때 의논합니다. 

     
    6. 장례 예배
    담임목사소개03.png 임종예배
     1. 임종의 뜻 -  임종이란 이 세상에서 마지막 숨을 거두는 고인을 지켜보는 것을 말합니다. 죽음 사람의 입장에서는 운명이라고 하며, 이를 지켜보는 타인의 입장에서는 임종이라고 합니다.
     2. 임종 후의 할 일 - 사람이 일단 운명을 하게 되면, 고인뿐 아니라 유족을 위해서 우상숭배의 죄를 범하는 일이 없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사람이 죽으면 먼저 의사와 교회의 목사님에게 알려서 사망진단 및 장례절차를 의논하도록 합니다.
     3. 상례의 준비
      1)먼저 상주를 세우되 상주는 고인의 자녀 중 장남이 되며, 상주는 상례를 하는 동안
      2)장례일정을 계획합니다.
      - 사망진단서, 주민등록초본, 장의물품 등을 준비하고
      - 임종예배, 입관예배, 발인예배, 하관예배를 계획하며
      - 가까운 친척과 친지들에게 부고(전화, 문자)를 합니다.
     4. 임종 예배  
    - 교인 및 직계 가족인 환자가 위독한 상태에 빠지면 가족들은 침착하게 의사의 지시에 따르고 교역자에게 급히 알려야 합니다.(장례절차를 의논) 
    - 임종이 임박할 때에 급히 교회에 연락하여 담임목사를 청해 임종 예배를 드립니다. 임종이 가까운 분일지라도 청각이 마지막까지 남아 있으므로 성경말씀 요한복음11장17-27절, 14장1-6절, 디모데후서 4장6-8절을 읽어드리며 찬송 488장, 490장 493장을 부르고 기도하여 천국에 대한 소망을 끝까지 가질 수 있도록 합니다.
       물을 일이 있으면 내용을 간추려서 대답하기 쉽게 묻고 대답을 기록합니다.  녹음기로 녹음을 하면 정확한 유언을 남길 수 있고 최후의 육성을 보존할 수도 있습니다. 
    담임목사소개03.png 입관예배
    - 입관예배는 담당 교역자와 유가족들과 합의하여 시간을 정합니다. 
    - 세상에서 마지막 보는 순간이므로 가족이 보는 적당한 시기에 정중하게
       위생 수의 로 갈아입힌 후(장의사의 염사가 하는 작업임) 입관합니다. 
    - 미신적인 행위는 일체 삼가야 하며 입관예배가 끝나면 상주와 유족들은
       상복을 하고 상장을 부착합니다. 
    담임목사소개03.png 발인예배
    - 장례는 가급적 사망한 날로부터 3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좋으며
       미신적으로 장례일을 택해선 안됩니다.
       (교회와 의논하여 장례 날짜와 시간을 정하고 단 주일 에는 발인을 할 수 없습니다.) 
    - 영구가 장지로 떠나기 전 엄숙하고 정중하게 발인예배를 드립니다. 
       유가족들은 묘지에서 필요한 모든 물건들을 미리 준비하였다가
       차량에 실어 놓고 장례예배가 끝나면 곧 출발 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연화장으로 가서 화장을 하여 납골당에 안장 시 안산 관내일 경우에 만 교역자들이 하관예배를 인도할      수 있습니다.
     
     * 문상이나 교회에 장례 광고를 올리면 성도들이 "삼가 고인의 명복(冥福)을 빕니다."라고 문상 인사를 하는데 "삼가 고인의 명복(冥福)을 빕니다."라는 표현은 우리 기독교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표현입니다.
    왜냐하면 명복(冥福) 이란 단어가 불교에서 사용하는 용어이기 때문입니다.
    이 용어는 '명부(冥府) 즉 저승에는 사후세계를 다스리는 염라대왕이 살고 있는데 죽은 사람들은 모두 염라대왕 앞에 가서 심판을 받는다고 합니다. 그래서 '명복을 빈다.'라는 말은 고인이 저승에 가서 염라대왕으로부터 심판을 잘 받고 복을 누리기를 비는 것을 의미합니다.
    불교, 유교를 믿거나 종교가 없다면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라는 말을 사용해도 됩니다. 그러나 우리 성도들에게는 이 말의 사용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우리 기독교에서는 이렇게 문상 인사를 하면 됩니다.
    - 하나님의 위로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 부활의 소망을 가지시기 바랍니다.
    - 무엇으로 위로의 말씀을 드려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등입니다.
    기독교는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은 고인을 위로하기보다는 유가족들을 위로하여 천국의 소망을 가지도록 합니다.
    ×